본문 바로가기

모스.활착수초

Hygrophila pinnatifida (하이그로필라 피나디피다) 하이그로필라 피나디피다 입니다. 뿌리에 힘이 좋아 활착 시켜서 키우기도 합니다. 돌을 이용한 레이아웃에 이용하면 아주 자연스럽게 활착이 되며 자연스럽고 풍성한 항을 만들수 있습니다. 소일항의 바닥에 심을 경우 바닥재의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는 길게 자라는 경향이 있습니다. 작고 오밀 조밀한 모습으로 키우고 싶으시다면 화산석과 같은 돌이나 유목에 활착하시는걸 권합니다. PH는 크게 타지 않기에 소일항이나 샌드를 이용한 항에도 키우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이쁜 모습으로 키우고 싶으시다면 소일과 이탄을 사용하여야 하며 적절히 비료를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다크 레드 모스 (Red moss) 수입한 부세에 따라온 다크레드모스 국내에선 다크레드모스 로 불리웁니다. 이름과 같이 붉은빛이 특징인 모스입니다. 정확한 이름은 Caloglossa cf. beccarii 입니다.
킹나나 or 베인나나 잎맥이 찐~~~~~~~하게 보이는 나나 킹나나 혹은 베인나나 라고 부르는 나나를 데려왔습니다. 잎맥이 찐~한 것이 특이해요. 귀찮아서 활착은 못하고 탱크항에 우선 던져 놓습니다. ㅋ 아누비아스 종일테니 키우는 건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을듯하고 수상엽 일테니 우선은 적응시켜보고 조금씩 포스팅해볼게요 근데 이놈은 구글링을 아무리 해봐도 검색 자체가 안되네요 다른 이름이 있던가 아니면 어떤 종의 변이 같은데 혹시 아시는 이웃분 계시면 알려주셔요~
프리미엄 모스 "우리가 접하는 프리미엄 모스는 진짜 프리미엄 모스가 아니다.." 첨엔 이게 뭔 소린가 했어요 자세히 보지 않는 이상 비슷해 보이는 종이 있더라고요 Riccardia' chamedryfolia' - Coral moss Riccardia 'graeffei' - mini pellia 사진으로 확대해서 보니 확 틀리죠? 분명히 이름도 틀리고 모양도 틀린데 이름을 혼용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우리가 흔히 접하는 프리미엄모스라고 부르는 종은 Riccardia chamedryfolia - 코랄모스 라고 불러야 하는데 미니펠리아 라고도 부르죠 미니펠리아는 Riccardia graeffei인데 말이죠 외국 애들도 보면 막 헷갈려 하면서 이름을 잘못 부르기도 하니 사람 다 똑같은 거죠 ㅋㅋ 확대 사진 보면 확실히 차이가 ..
작은 꽃 자세히 봐야 보이는 작은 꽃이 있어요. 자세히 보기 전엔 잘 모르죠. 눈을 아주 크게 뜨고 봐야 보일 정도니 미니 삼각 모스
모스의 번식 모스의 번식이라 하면 머 막~ 대충 그까이꺼~ 하면서 칼로 썰고~ 가위로 썰고~ 손으로 뜯고 활착해서 늘어나는 번식법으로 키워왔는데 포낭으로의 포자 번식은 말로만 들었지 본적이 없었죠. 헌데 오늘 수초항들 정리하다 보니 어????????? 처음 봤습니다. 어떤 환경에서 저게 생기는진 모르겄지만 모스에 저런게 달리니 불교 경전에 나오는 꽃 우담바라 와 같은 느낌에 왠지 모르게 기분도 좋아지네요 그래서~ 전 지금 로또를 사러 가봐야겠습니다 ㅋㅋ